용대기 놀이 충남 홍성의 용대기 놀이 웃마을 사람들이 용대기를 앞세우고 풍물을 치며 들에 김을 매고 있을때 아랫마을 용대기가 인사없이 지나가다 싸움이 벌어져 진편이 아우가 되어 흥겹게 노는 농촌의 놀이.더욱이 형산리 마을은 지금까지도 용대기를 마을의 상징으로 삼아 농사철만 되면 속칭 “용대기 배.. ◎ 취미.여가/구석탐방 2007.09.03
망향의 동산 충남 천안시 성거읍에 위치해 있는 망향의 동산은 해외에 이주해 살면서 연고지가 없거나 조국에 묻히기를 원하는 1백만 해외동포를 위한 국립묘원으로 1976년에 조성되었다. 묘역 안에는 묘 외에도 위령탑과 KAL 희생자 위령탑, 재일동포의 조림지가 있으며, 매년10월 2일에는 망향의 날로 합동위령제가.. ◎ 취미.여가/구석탐방 2007.09.03
천안삼거리 천안삼거리공원은 삼남이 모여 어울리던 곳이며 갖가지 전설과 민요를 낳기도 하였다. 천안삼거리 흥타령은 기쁜 노래의 대명사인양 많은 사람들의 흥을 돋우고 즐겁게 해주고 있다. 연못가에 위치한 영남루와 야외공원에서는 해마다 많은 문화행사가 다채롭게 열리고 있다. ◎ 취미.여가/구석탐방 2007.09.03
봉선홍경사사적갈비 충남 천안시 성환읍에 위치한 봉선홍경사사적갈비는 고려 때 현종이 선왕의 유지를 받들어 법당 200여칸의 불사를 지어 봉선홍경사라고 이름을 지었으나 지금은 홍경사갈만이 남아있다. 국보제7호로 지정되어 있는 봉선홍경사사적갈비의 비문은 최충이 짓고 백현례가 썼다. ◎ 취미.여가/구석탐방 2007.09.03
의 좋은 형제 의 좋은 형제 이야기(충남 예산군 대흥의 이성만. 이순) 1983년 9월 29일 충청남도유형문화재 제102호로 지정되었다. 고려시대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한 이성만과 이순(李順) 형제의 행적을 기리기 위하여 1418년(세종 1) 지신사(知申事) 하연(河演)의 주청에 따라 1497년(연산군 3)에 세워졌다. 비 높이 142㎝.. ◎ 취미.여가/구석탐방 2007.08.29
이남규 고택 충남 예산군 대술면 상향리 소재 이남규(1855∼1907)가 태어난 집으로, 10대 조부 한림공 이구가 조선 인조 15년(1637)에 짓고 헌종 12년(1846)에 다시 지었다고 한다. 이남규는 조선 말기의 의사로, 고종 31년(1894) 일본공사 오도리가 군대를 이끌고 서울에 도착하자 상소를 올려 일본의 무도함을 규탄할 것을 .. ◎ 취미.여가/구석탐방 2007.08.28
충남 아산의 외암리 민속마을 충남 아산의 외암 민속마을은 지금으로 부터 약 500여년전에 형성된 마을이며, 설화산 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옛 부락의 생활모습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을뿐만아니라 다른 민속촌과는 달리 현재 주민이 기거 생활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이곳은 각종 생활 민속 자료들이 다량 보존되어 있어서 .. ◎ 취미.여가/구석탐방 2007.08.22
충의사와 덕산기행 예산의 덕산면에 있는 충의사입니다. 잘 가꾸어져 있고 곳곳에 윤봉길의사의 업적들이 기록되 있습니다.... 산책과 데이트는 물론 나라사랑의 마음을 다시한번 굳히는 계기가 될것입니다. 입장료는 없으며, 주차, 사진촬영등이 이주 용이합니다. 주변에 수덕사와 덕산 온천이 있어서 당일 여행코스로 .. ◎ 취미.여가/구석탐방 2007.08.22
백송 예산의 백송(禮山의白松) 천연기념물 106호 분 류 : 노거수 수 량 : 1주30㎡ 지정일 : 1962.12.03 소재지 : 충남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 산73-28 수령(樹齡) : 200년 나무의 크기 : 높이가 10m, 가슴높이의 둘레가 1.5m, 0.8m, 0.7m 설명 : 백송은 나무껍질이 넓은 조각으로 벗겨져서 흰빛이 되므로 백송 또는 백골송(白骨.. ◎ 취미.여가/구석탐방 2007.08.22
추사 김정희 고택 층남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 소재 추사 김정희의 생가이며, 당시의 생활 모습과 백송 그리고 건축양식, 기타 그의 작품세계를 엿볼 수 있다. 입장료는 500원. ◎ 취미.여가/구석탐방 2007.08.22